반응형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배우기 전에 꼭 먼저 알아야 할 것들이 있어요.
바로 컨테이너, Docker, 그리고 쿠버네티스 자체에 대한 큰 그림이에요.
처음 접하는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쉽게 풀어볼게요! 🙌
🐳 컨테이너란?
컨테이너(Container)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코드, 라이브러리, 설정 등을 하나로 포장한 실행 단위예요.
이렇게 포장해두면, 어디서 실행하든 환경 차이 없이 똑같이 작동합니다.
✔️ 쉽게 말하면, **“한 번 만들면 어디서든 똑같이 실행되는 앱 상자”**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시
내 컴퓨터에서는 잘 돌아가는 웹 서버가,
운영 서버에서는 오류가 나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죠?
컨테이너는 이런 문제를 아예 없애주는 강력한 해결책이에요.
⚙️ Docker는 뭐하는 도구일까?
Docker(도커)는 이런 컨테이너를 만들고, 실행하고, 관리해주는 도구예요.
컨테이너의 대표적인 구현체죠.
Docker로 할 수 있는 것들
- 컨테이너 만들기 (Dockerfile)
-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 앱 실행 (docker run)
- 실행 중인 컨테이너 상태 확인 (docker ps)
- 로그 보기, 중지, 삭제 등 관리 기능도 제공
💡 요약: Docker는 컨테이너를 다루는 “도구 상자”라고 보면 됩니다.
☸️ 그럼 쿠버네티스는 뭐하는 걸까?
Docker가 한두 개의 컨테이너를 다루는 도구라면,
**Kubernetes(쿠버네티스)**는 수십~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터입니다.
쿠버네티스가 해주는 일
- 컨테이너 자동 배포
- 트래픽 분산
-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 사용량에 따라 자동 확장
- 설정만으로 환경 관리 가능
🎯 요약하면, Kubernetes는 컨테이너들을 알아서 잘 굴러가게 해주는 똑똑한 관리자예요.
📌 정리하며
구분역할
컨테이너 | 앱을 실행하는 상자 (환경 차이를 없애줌) |
Docker | 컨테이너를 만들고 실행하는 도구 |
Kubernetes | 수많은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운영해주는 관리자 |
다음 단계에서는 직접 Docker로 컨테이너를 만들어보고, 간단한 웹 서버를 실행해볼 거예요.준비가 됐다면 👉 [1단계: Docker 실습 시작하기] 로 넘어가 볼까요?
반응형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k8s)] 한달 학습 계획 (입문자용) (0) | 2025.04.21 |
---|---|
[리눅스] 배치 실행 스크립트 (1) | 2025.02.28 |
NAS서버 동기화 문제 (0) | 2025.02.28 |
[Nginx] SSL 통신 오류 (0) | 2025.02.27 |
vi 커멘트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