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개발/통신 · 프로토콜4 [OIDC] OAuth 2.0을 확장한 인증 프로토콜 목차 OIDC란?OAuth 2.0과 OIDC의 차이 OIDC의 동작 방식 (Authorization Code Flow) OIDC란?OIDC(OpenID Connect)는 OAuth 2.0을 확장해서 **사용자 인증(Authentication)**을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쉽게 말하면, "이 사람이 누구인지 확인해주는 표준"이라고 보면 된다.OIDC의 가장 큰 특징은 ID Token이라는 걸 통해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 토큰은 사용자가 인증을 성공했음을 증명하는 데이터이다. OAuth 2.0과 OIDC의 차이1. 목적OAuth 2.0권한 부여(Authorization)를 위한 프로토콜이다.사용자가 자신의 자원(예: 구글 드라이브 파일, 사진 등)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접근할.. 2024. 12. 3. JWT란 1. JWT란 JSON 객체로 당사자 간에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컴팩트하고 독립적인 방식을 정의하는 개방형 표준(RFC 7519) RFC 7519: JSON Web Token (JWT)JSON Web Token (JWT) is a compact, URL-safe means of representing claims to be transferred between two parties. The claims in a JWT are encoded as a JSON object that is used as the payload of a JSON Web Signature (JWS) structure or as the plaintext of a JSdatatracker.ietf.org 쉽게 말해 사용자 간에 .. 2024. 7. 9. CORS 1.CORS 개념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225/ CORS는 왜 이렇게 우리를 힘들게 하는 걸까? | 요즘IT이번 포스팅에서는 웹 개발자라면 한 번쯤은 얻어맞아 봤을 법한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사실 웹 개발을 하다 보면 CORS 정책 위반으로 인해 에러가yozm.wishket.com 2023. 7. 26. 웹소켓 1. 웹소켓이란 웹소켓(WebSocket)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메시지 교환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W3C와 IETF(RFC 6455)에 의해 자리잡은 표준 프로토콜이다. 하나의 TCP 접속에 전이중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OSI 모델의 7계층(Application layer)에 위치해 있으며, 4계층(Transport layer)의 TCP에 의존한다. 단방향 통신인 HTTP와 달리 전이중(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더 낮은 부하를 사용한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참조 더보기 https://ko.wikipedia.org/wiki/%EC%9B%B9%EC%86%8C%EC%BC%93 웹소켓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웹소켓(.. 2023. 7. 26. 이전 1 다음 반응형